&_now;  【2013년5월31일 이래 조회수】 &counter;  ( 오늘:&counter(today); )&br;
#freeze
#author("2023-05-20T06:10:07+00:00","","")
&_now;  【2013년5월31일 이후 조회수】 &counter;  ( 오늘:&counter(today); )&br;
【[[일본어판>http://jakle.sakura.ne.jp/index.php]]】 
#norelated
* Ⅰ.머리말 [#q1f33b28]
&size(16){본회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3월 20일에 '한국어교육연구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에 그 명칭을 '한국어교육학회(Japan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略称:JaSKLE)'로 변경하였습니다.(자세한 내용은 '활동기록'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br;&br;
&color(red){&size(16){2015년 10월 30일부로 [[日本学術会議協力学術研究団体>http://www.scj.go.jp/ja/info/link/link_touroku_ta.html]]로서 등록되었습니다.};};&br;
&size(14){日本学術会議 미엘・뉴스는 【[[여기>http://www.scj.go.jp/ja/other/news/index.html]]】를 보시기 바랍니다.};&br;
&br;
※회원수는 183명입니다. (2016/9/06)&br;
* Ⅰ. 머리말 [#q1f33b28]
한국어교육학회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br;
본회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3월 20일에 '한국어교육연구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에 그 명칭을 '한국어교육학회(Japan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약칭:JaSKLE)'로 변경하였습니다.&br;(자세한 내용은 '활동 기록'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br;
2015년 10월 30일 부로 일본학술회의 협력학술단체로 등록되었습니다. 회원 명부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br;

* Ⅱ.최신 정보 [#n180d3b7]
**[[지난번 정례회 내용>정례회8#reikai58]] [#la29a9f3]
※투고 규정을 바꿨습니다.(2016/5/31)&br;
※『朝鮮語教育』제12호 투고 신청을 시작했습니다. 마감 날짜는 7월 31일입니다.(2016/6/1)&br;
** 공지 사항 [#b195a10c]
-제92회 정례회는 대면과 온라인을 합쳐서 80여명이 참가해 주셔서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3년 3월 8일)
//-제93회 정례회의 발표자가 결정되었습니다.(2023년 4월 19일)
//-제93회 정례회에 대한 안내를 게재하였습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참가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8월 5일)
//-제92회 정례회의 발표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개최지는 후쿠오카입니다. (2022년 11월 30일)
-제91회 정례회는 80명이 넘는 분이 참가하여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2년9월 27일)
-「[한국어교육실정조사분과회]」에서는 일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의 실정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분과회 페이지를 참고 바랍니다. (2019년 12월 20일)
//-제91회 정례회에 대한 안내를 게재하였습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참가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8월 5일)
//-제90회 정례회는 85명이 넘는 분이 참가하여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2년6월 13일)
//-『조선어교육―이론과 실천―』 제18호의 투고 원고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학회지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22년 6월 1일)
//-2021년 6월 20일의 총회에서 새로운 회장 선출과 학회 임원 교체가 이루어졌습니다.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임원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21년 6월 20일)

**제59회 정례회 2013년 9월 7일(토)니가타현립대학교([[新潟県立大学>http://www.unii.ac.jp/]]) [#p14e80bf]
&size(18){    -날짜:2013년09월07일(토)};&br;&br;
&size(18){   -장소:니가타현립대학교(新潟県立大学)};&br;
** 제93회 정례회는 2023년 6월 25일 早稲田大学(本キャンパス)에서 개최됩니다. [#pbee42a4]
- 개최 일시:2023년 6월 25일(일)10:30〜17:50
- 개최 방식:早稲田大学(本キャンパス)3号館405教室(대면)+ 온라인(zoom)
- 참가 비용:회원 무료, 비회원 500엔

***&size(18){    오전 -분과회- (10:00 - 12:00)}; [#of930f7c]
  [[제36회 제이언어습득론 분과회>제2언어습득론 분과회#yotei]] 1250강의실&br;
  [[제30회 유사표현 분과회>유사표현 분과회#yotei]] 1251강의실&br;
  [[제41회 문화론 분화론 분과회>문화론 분과회#yotei]] 1253강의실&br;
  [[제15회 정보처리 분과회>정보처리 분과회#yotei]] 1256강의실&br;
//-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이하의 양식을 작성해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사전 참가 신청 필수)&br;
//&color(red){신청 접수를 마감하였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

***&size(18){    오후 -정례회- (13:00 - 17:30) 1257강의실}; [#qe84acfa]
&br;
   발표1:유타니 유키토시(油谷幸利) 同志社大学「한국어의 난이도 분석에 대하여」&br;
 독해 교재를 일정한 기준에 준거해서 적성하는 것은 뜻밖에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다. 본 발표자는 어휘 수준에 기초하여 문장의 난이도를 평정하는 시스템을 개발중인데, 회원 여러분들의 비판을 그 내용을 개선하고자 한다.
 시스템의 개요는 아래와 같다. ①문장을 입력해서 분석 단추를 누른다. ②문장을 향태소 분석해서 올림말, 의미, 레벨이 표 형식으로 제시한다. 다음 단계로서 품사별 표시와 레벨별 표시를 고를 수 있다. ④올림말은 웹 사전으로 링크되어 있기 때문에 올림말을 클릭하면 자세한 뜻풀이와 용례를 확인할 수 있다. ⑤분석 결과는 그대로 엑셀 시트로 복사할 수 있다. ⑥어휘 데이터 베이스에 없는 형태소에는 미지어라는 라벨이 붙여진다. ⑦사용자는 미지어를 어휘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다.&br;
&br;
   발표2:지 정희(池貞姫)愛媛大学「전후 점령기에 있어서의 조선인학교 교과서에 대하여-프랑게문고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br;
 1945년 8월, 일본은 패전에 따라 GHQ(연합국군 총사령부)의 점령하에 놓이게 되었다. GHQ는 점령정책의 일환으로 모든 일본 출판물을 검열 대상으로 삼았다. 전후에 남은 재일 조선인이 낸 출판물도 물론 예외는 아니었다. 이들 검열 자료는 현재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안에 있는 프랑게문고에 소장되어 있다. 본 발표에서는 프랑게문고에 소장된 조선어 출판물 , 특히 재일 조선인 아동을 위한 교과서군(1946-1949)의 내용과 실태, 그리고 그 특징에 대해 발표하고자 한다. 전후 일본에 있어서의 조선어 교육사를 연구하는 데에도 이 시기의 민족 교육은 적지 않게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생각된다.&br;
&br;
   발표3:장 하림(張河林)東京大学韓国朝鮮文化研究科言語社会専攻 博士課程1年&br;
「소설을 이용한 한국어교육-소설 텍스트의 유효성과 실례의 선정」&br;
 비모어화자를 대상으로 하는 외국어 교육에서, 소설텍스트가 교육소재로써 유효하다는 의견은 많으나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생각만큼 활용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특히 현대소설 텍스트를 활용하여 한국어교육을 실시한 예는 거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데뷔한 한국 현대 작가 6명-박민규, 김애란, 정이현, 김중혁, 황정은, 김이설-의 2000년대 작품(장편소설 12편, 단편소설 122편)을 대상으로 선정기준을 정하여 검토 후, 한국어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소설텍스트 4편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텍스트는 어휘면, 문화면으로 분석하였는데, 어휘면 분석에 있어서는 ‘의미장(semantic field)’ 이론을 이용하여 각 소설에 등장하는 명사를 카테고리화 하여 정리하였다. 그리고, 4편의 소설 중, 1편을 선정하여 교안을 작성한 뒤, 교안을 바탕으로 모의수업을 실시하였다. 민단 시나가와 지부 한국어강좌 상급학습자 7명을 대상으로 한, 2회(90분X2=180분)에 걸친 시범수업이었으나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앞으로도 소설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을 테마로,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br;
&br;
친목회(18:00 -20:00)
//[[>>>회원용 정례회 참가 신청 양식 click here>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VdQ3hL_-hKKv-Gt7x3XKzEKng1z3AnlIVixi3eVOcjp6EJg/viewform]]&br;

※[[니가타현립대학교 지도>http://www.unii.ac.jp/access/]]&br;
&br;
**제60회 정례회 2013년 12월 [#hea1405a]
   발표1:모집중(신청 마감 9월 30일)&br;
   발표2:모집중(신청 마감 9월 30일)&br;
&br;
   (발표 희망자는 [[발표 안내]]를 보시기 바랍니다.)&br;
//[[>>>비회원용 정례회 참가 신청 양식 click //here>https://peatix.com/event/3490181]]&br;

**제61회 정례회 2014년 3월 [#c897b2b1]
//&size(14){당일 대면으로 참가하시는 분은 미리 신청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회장에서 직접 신청 접수를 받을 예정이므로 많은 참여 부탁 드리겠습니다.}; &br;

* Ⅲ.대학교 등 한국어 교사 연수회 [#y1e5bf7d]
 일본에서 한국어 교육을 맡고 있거나 한국어 교육에 관심이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수법의 강습회입니다.&br;
 한국어교육연구회 회원이 강의의 일부를 맡아 왔습니다.&br;
**과거의 연수회 [#o10ae237]
[[第1回京都研修:http://archive.jakehs.org/02/Kyoto2004ProgramJ.htm]] 2004年8月02日(月)~07日(土) 京都リサーチパーク&br;
[[第2回京都研修]] 2005年8月09日(火)~14日(日) キャンパスプラザ京都&br;
[[第3回京都研修]] 2006年8月08日(火)~13日(金) キャンパスプラザ京都&br;
[[第4回教師研修:http://www.koreanculture.jp/info_news_view.php?year=all&page=&number=446&keyfield=&key=]] 2007年8月06日(月)~11日(土) 工学院大学新宿キャンパス&br;
[[第5回教師研修]] 2008年8月11日(月)~16日(土) 大阪国際交流センター&br;
[[第6回教師研修]] 2009年8月06日(月)~11日(土) 九州産業大学&br;
[[第7回教師研修]] 2010年8月09日(月)~14日(土) 名古屋国際センター&br;
[[第8回教師研修]] 2011年8月20日(土)~25日(木) 北星学園大学&br;
[[第9回教師研修 >http://www.koreanculture.jp/info_news_view.php?number=2205]]2012年8月15日(水)~19日(日) 新潟県立大学&br;
&br;
【[[톱으로>한국어교육연구회]] 】&br;
//&size(14){▼ 제92회 정례회 간친회 출석 확인 Google Form링크}; &br;
//[[click //here>https://forms.gle/ooT4ykFEWTmkt8eEA]]&br;

* Ⅳ.사무국 [#i9fc0c89]
〒812-8581&br;
福岡市東区箱崎 6-10-1 九州大学留学センター 朝鮮語教育研究会事務局(斉藤信浩研究室気付) &br;
E-mail: chousengokyouiku@yahoo.co.jp&br;
TEL: 092-642-2150&br;
FAX:092-642-4238&br;
*&size(14){연간 기획}; [#scbe3112]

&size(14){10:30- 개회}; &br;

&size(14){10:35-12:00「한국어 강의에서 사용 가능한 수업 실천 제2탄}; 

&size(14){이번 기획에서도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회원 분들이 평소 수업에서 사용하고 계시는 수업 활동이나 학습 항목 해설에 대해 발표 및 시연을 해 주실 예정입니다. 이를 공유함으로써 학회의 회원들은 각자의 수업을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전문적이고 특별한 테크닉이나 해설일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회원 분들이 참가하셔서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교류하여 유의미한 자리로 만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size(14){회원 총회}; &br;
&size(14){13:30-14:10}; &br;

*&size(14){제1회장-3号館 3階405教室}; [#n03f10cf]

&size(14){발표1 14:20-15:00}; &br;
&size(14){松崎真日(福岡大学),磯野英治(名古屋商科大学),検校裕朗(極東大学)}; &br;
&size(14){日韓の韓国語専攻・日本語専攻の学生のためのキャリア支援 -実態調査の実施とビデオ教材の開発-}; &br;
&size(14){일본에서의 한국어 전공과 한국에서의 일본어 전공 학생을 위한 커리어 지원 -실태조사와 비디오 교재 개발-}; &br;

&size(14){발표2 15:10-15:50}; &br;
&size(14){金景彩(慶應義塾大学外国語教育センター)}; &br;
&size(14){マルチリテラシー育成を目指した韓国語教育──ミュージック・ビデオを活用した実践報告}; &br;
&size(14){멀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사례보고}; &br;

&size(14){발표3 15:10-15:50}; 
&size(14){李鉉淑(コリア国際学園 )}; &br;
&size(14){K-POPとドラマで創られる学びの場}; &br;
&size(14){K-POP과 드라마로 창조되는 배움의 장}; &br;

*&size(14){제2회장-3号館 3階404教室}; [#ffbcbf24]

&size(14){발표1 14:20-15:00}; &br;
&size(14){李熙卿(久留米大学)}; &br;
&size(14){日本の大学における韓国語科目のアチーブメントテストの問題作成についての一考-多肢選択問題に焦点を当てる-}; &br;
&size(14){일본 대학의 한국어 과목 성취도 테스트 문항 개발에 대한 일고-다지선다형 문제를 중심으로-}; &br;

&size(14){발표2 16:00-16:40}; &br;
&size(14){李安九(岡山大学)}; &br;
&size(14){日本の大学で使われる入門用韓国語教科書の語彙について}; &br;
&size(14){일본 대학교 입문용 한국어 교과서의 어휘 항목에 대한 고찰}; &br;

*&size(14){발표 요지}; [#o90d58bd]

&size(14){松崎真日(福岡大学),磯野英治(名古屋商科大学),検校裕朗(極東大学)}; &br;
&size(14){本発表では、日本における韓国語専攻、および韓国における日本語専攻の学生が専攻言語を生かした進路を選択するためのキャリア支援を行うための実態調査の結果と、キャリア支援のためのビデオ教材の開発について報告する。実態調査は、3年次以下の大学生を対象に、日本で8大学74名、韓国で12大学102名の計176名の大学生に対して、9項目のアンケート調査を実施した。具体的には、進路の決定にあたりどのような情報が役立っていたのか、また専攻言語を生かすことができると考えられている仕事の特徴は何かなどを調査した。また、実態調査の結果を踏まえ、日本における韓国語専攻学生、韓国における日本語専攻の学生が進路を考えるのに役立つビデオ教材『映像で学ぶキャリア-日韓の学生が専攻言語を生かすために-』を制作した。本ビデオ教材は、YouTubeで無償公開しているものであるが、本発表では教材の構成と狙いについても報告する。}; &br;

&size(14){金景彩(慶應義塾大学外国語教育センター)}; &br;
&size(14){本発表は、ミュージック・ビデオ(MV)を活用した韓国語授業の実践例を紹介し、韓国語教育におけるマルチリテラシー(Multiliteracy)教授モデルの適用可能性とその効果を考察するものである。1996年、New London Groupによって提唱されたマルチリテラシーは、文字情報に限られない複合的な情報(各種メディアにおける視覚・聴覚情報、デジタル情報など)をさまざまな社会・文化的コンテクストの中で理解・解釈し、それを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活用できる能力を意味する。MVは、単に学習者の興味を刺激する付随的な教材に留まるものではなく、文字情報の処理能力に集中しがちな第二外国語教育を、マルチリテラシー教育へ拡張しうる媒介になる。本発表では、MVを主たる教材として活用した授業実践を紹介することで、第二外国語としての韓国語教育の意義を新たに見出すことを目指す。}; &br;

&size(14){李鉉淑(コリア国際学園 )}; &br;
&size(14){本発表は、2022年度後期にH大学にて行われた「K-POPとドラマで学ぶ韓国語」の授業について、活動を中心に紹介する。授業は、毎回K-POPを1曲ずつ聞き、歌詞に関する①語彙の意味を把握する、②文法の確認を行う、③日常会話表現を覚える、④活動(課題)を行うという手順で行われた。文法や会話表現と関連し、ドラマを適宜使用した。活動の主な内容としては、自分の状況を反映した替え歌や教室の外の人々を登場させるミュージックビデオの作成などで学習者同士がグループまたはペアで活動に取り組むようにした。さらに、韓国の大学生とのオンライン交流や学習者が講師として務めたK-POPダンス活動を行うことにより、多様な取り組みの場が提供できた。その結果、学習者同士の対話の場が増え、積極的に課題にかかわる学習者の姿がみられた。今後、K-POPとドラマを通じた多様な学びと学習者オートノミーについて検討したい。}; &br;

&size(14){李熙卿(久留米大学)}; &br;
&size(14){대학의 한국어 과목을 교수하는 교사는 매 학기 시험 문제를 출제하여 해당 과목의 학습 목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게 된다. 아울러 교사는 평가와 관련된 시험 문제의 문항 개발에 있어서 교사 자신이 출제한 각 문항이 적절하게 출제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런데 각 대학의 한국어 학기말 등의 시험 문제는 현실적으로 공개되기 어렵다는 이유로 각 교사의 몫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시험 문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교사는 실제로 시험 문제를 작성하면서 과연 적절하게 출제하고 있는지 어떤 문제를 작성하는 것이 좋은 지 매번 고민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양 과목에서 필자가 출제한 다지선다형 테스트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한국어 과목의 테스트 문항 작성 기준이 되는 것들을 다시 한번 고찰함으로써 본 발표를 통해 향후 일본 대학의 한국어 과목의 성취도 테스트 문항 개발에 대해 재검토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br;

&size(14){李安九(岡山大学)}; &br;
&size(14){본 발표는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입문 수업에서 쓰이는 교과서들의 어휘 항목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어휘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일본의 대학교에서 많이 쓰이는 15종의 교과서에서 제시된 어휘 항목의 목록을 살펴보는 한편, 한국어 능력시험(TOPIK) 및 한글 능력 검정 시험(KLPT)의 어휘 항목과도 비교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입문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기초 어휘 항목의 윤곽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br;

* Ⅲ. 사무국 [#i9fc0c89]
〒814-0180  福岡市城南区七隈8-19-1&br;
福岡大学人文学部東アジア地域言語学科&br;
松崎真日研究室気付 朝鮮語教育学会事務局 &br;
E-mail: mail@jakle.sakura.ne.jp&br;
&br;
【[[톱으로>한국어교육연구회]] 】&br;


トップ   新規 一覧 単語検索 最終更新   ヘルプ   最終更新の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