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ze
#author("2023-05-20T06:10:07+00:00","","")
&_now;  【2013년5월31일 이후 조회수】 &counter;  ( 오늘:&counter(today); )&br;
【[[일본어판>http://jakle.sakura.ne.jp/index.php]]】 
#norelated
* Ⅰ.머리말 [#q1f33b28]
조선어교육연구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br;
본회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3월 20일에 '한국어교육연구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에 그 명칭을 '한국어교육학회(Japan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略称:JaSKLE)'로 변경하였습니다.&br;(자세한 내용은 '활동기록'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br;
2015년10월30일부로,일본학술회의 협력학술단체로 등록되었습니다.&br;
회원명부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br;
* Ⅰ. 머리말 [#q1f33b28]
한국어교육학회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br;
본회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3월 20일에 '한국어교육연구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에 그 명칭을 '한국어교육학회(Japan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약칭:JaSKLE)'로 변경하였습니다.&br;(자세한 내용은 '활동 기록'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br;
2015년 10월 30일 부로 일본학술회의 협력학술단체로 등록되었습니다. 회원 명부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br;

** 공지 사항 [#b195a10c]
-제92회 정례회는 대면과 온라인을 합쳐서 80여명이 참가해 주셔서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3년 3월 8일)
//-제93회 정례회의 발표자가 결정되었습니다.(2023년 4월 19일)
//-제93회 정례회에 대한 안내를 게재하였습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참가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8월 5일)
//-제92회 정례회의 발표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개최지는 후쿠오카입니다. (2022년 11월 30일)
-제91회 정례회는 80명이 넘는 분이 참가하여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2년9월 27일)
-「[한국어교육실정조사분과회]」에서는 일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의 실정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분과회 페이지를 참고 바랍니다. (2019년 12월 20일)
//-제91회 정례회에 대한 안내를 게재하였습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참가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8월 5일)
//-제90회 정례회는 85명이 넘는 분이 참가하여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2년6월 13일)
//-『조선어교육―이론과 실천―』 제18호의 투고 원고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학회지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22년 6월 1일)
//-2021년 6월 20일의 총회에서 새로운 회장 선출과 학회 임원 교체가 이루어졌습니다.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임원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21년 6월 20일)

* Ⅱ.정례회[#n180d3b7]
** 제93회 정례회는 2023년 6월 25일 早稲田大学(本キャンパス)에서 개최됩니다. [#pbee42a4]
- 개최 일시:2023년 6월 25일(일)10:30〜17:50
- 개최 방식:早稲田大学(本キャンパス)3号館405教室(대면)+ 온라인(zoom)
- 참가 비용:회원 무료, 비회원 500엔

**제80회 정례회 2019년3월10일(일) 긴키대학교 히카시오사카캠퍼스 G관(東大阪キャンパス G館)[#p14e80bf]
//-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이하의 양식을 작성해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사전 참가 신청 필수)&br;
//&color(red){신청 접수를 마감하였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

//[[>>>회원용 정례회 참가 신청 양식 click here>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VdQ3hL_-hKKv-Gt7x3XKzEKng1z3AnlIVixi3eVOcjp6EJg/viewform]]&br;

〒577-8502 大阪府東大阪市小若江3-4-135&br; 
※찾아오시는 길 https://www.kindai.ac.jp/access/ 
//[[>>>비회원용 정례회 참가 신청 양식 click //here>https://peatix.com/event/3490181]]&br;

//&size(14){당일 대면으로 참가하시는 분은 미리 신청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회장에서 직접 신청 접수를 받을 예정이므로 많은 참여 부탁 드리겠습니다.}; &br;

**【초청 강연】  10:00-12:00  G601교실 [#p14e80bf]
//&size(14){▼ 제92회 정례회 간친회 출석 확인 Google Form링크}; &br;
//[[click //here>https://forms.gle/ooT4ykFEWTmkt8eEA]]&br;

  박선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부교수)
*&size(14){연간 기획}; [#scbe3112]

제2언어 한국어 문법 습득 연구 동향과 연구 방법&br;
第2言語としての韓国語文法習得における研究動向と研究方法&br;
Recent trend and methodology in the research on L2 Korean grammar acquisition&br;
&size(14){10:30- 개회}; &br;

**【연구 발표】  13:30~18:00 G601교실 [#p14e80bf]
&size(14){10:35-12:00「한국어 강의에서 사용 가능한 수업 실천 제2탄}; 

개회 인사&br;
학회 활동 보고&br;
&size(14){이번 기획에서도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회원 분들이 평소 수업에서 사용하고 계시는 수업 활동이나 학습 항목 해설에 대해 발표 및 시연을 해 주실 예정입니다. 이를 공유함으로써 학회의 회원들은 각자의 수업을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전문적이고 특별한 테크닉이나 해설일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회원 분들이 참가하셔서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교류하여 유의미한 자리로 만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size(14){회원 총회}; &br;
&size(14){13:30-14:10}; &br;

연구 발표 1 &br;
◎발표자(소속)&br;
최정아(金沢大学国際基幹教育院)&br;
◎발표 제목:한국어의 어휘적 사역과 어휘적 피동의 학습에 관하여 ー동사접사‘-이/-히/-리/-기'에 의한 파생 방향과 동사 의미 클래스를 바탕으로ー&br;
◎발표 요지:&br; 
韓国語の動詞接辞-i/-hi/-li/-kiによる表現形式は,語彙的使役および語彙的受身の両形式に現れる。現段階の学校文法では、このような特徴について触れることがないため、日本語を母語とする韓国語学習者にとっては非常に混乱を引き起こしやすいものである。  本稿では、鄭(2008)による「派生の方向から見たヴォイス・カテゴリーの連続性」という言語学的分析結果に基づき、韓国語テキストやテストで用いられている頻度の高い構文や動詞を用い、学校文法のレベルで動詞接辞-i/-hi/-li/-kiによる派生の方向と動詞の意味クラスの再分析を行う。そして、再分析の結果を取り入れた語彙的使役および語彙的受身の同時学習を提案する。&br;
*&size(14){제1회장-3号館 3階405教室}; [#n03f10cf]

--------------------------------------------------------------------------------
&size(14){발표1 14:20-15:00}; &br;
&size(14){松崎真日(福岡大学),磯野英治(名古屋商科大学),検校裕朗(極東大学)}; &br;
&size(14){日韓の韓国語専攻・日本語専攻の学生のためのキャリア支援 -実態調査の実施とビデオ教材の開発-}; &br;
&size(14){일본에서의 한국어 전공과 한국에서의 일본어 전공 학생을 위한 커리어 지원 -실태조사와 비디오 교재 개발-}; &br;

연구 발표 2 &br;
◎발표자(소속)&br;   
阪堂千津子(武蔵大学ほか)・西香織(北九州市立大学)・池谷尚美(横浜市立大学ほか)&br;
◎발표 제목:다국어 연계형 프로젝트 워크 수업 디자인 -올림픽을 소재로 한 수업디자인 고찰-&br;
◎발표 요지:&br; 
阪堂・西・池谷は、各自が担当する韓国語・中国語・ドイツ語のクラスを連携させて、2013年度から共通のプロジェクトワークを授業に取り入れてきた。そのやり方は、教師間で毎回プロジェクトワークのテーマと目標を設置し、手順や方法などを大まかに決定する。その後各自それぞれの状況に応じて学生の成果物を作成・共有し、最後に他クラスの成果物を見た学生同士の感想や意見を交換するというものである。  2017年度の場合、平昌オリンピックをテーマに、各国での注目選手の紹介やオリンピックに対する考え方、各国語での応援の仕方やパラリンピックへの各国の事情などについて取り上げた。その結果、「オリンピック(=世界)に対する複合的な見方」が学生たちの間に見受けられた。これは多言語で行うからこそ得られた成果である。  本発表では、授業実践の結果を基に、来年度に開催される東京オリンピックを題材にして、どのようなプロジェクトワークが効果的であるかを考察・提案する。&br;
&size(14){발표2 15:10-15:50}; &br;
&size(14){金景彩(慶應義塾大学外国語教育センター)}; &br;
&size(14){マルチリテラシー育成を目指した韓国語教育──ミュージック・ビデオを活用した実践報告}; &br;
&size(14){멀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사례보고}; &br;

--------------------------------------------------------------------------------
&size(14){발표3 15:10-15:50}; 
&size(14){李鉉淑(コリア国際学園 )}; &br;
&size(14){K-POPとドラマで創られる学びの場}; &br;
&size(14){K-POP과 드라마로 창조되는 배움의 장}; &br;

연구 발표 3 &br;
◎발표자(소속)&br;
長谷川由起子(九州産業大学)&br;
◎발표 제목:일본의 한국어 교과서 어휘와 문법 항목의 현황 ー'합격 도무미' 및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의 비교를 통해ー&br;
◎발표 요지:&br; 
本研究者は長谷川・李(2006)と長谷川・曺・大名(2009)で日本の大学で広く使用されている韓国語教科書の語彙調査を行い、前者では「語彙的学習項目」という概念を提案し、後者では「教育基幹語彙」抽出を行った。その後10年が経過したが、その間、多くの新しい教科書が刊行され、①「ハングル」能力検定試験の語彙リストが改訂され(2016)、②韓国・国立国語院からは国際通用韓国語標準教育課程の語彙リストが発表されている(2017)。ここで再度、日本の大学で広く使用されている韓国語教科書を選定しなおし、①②2種の語彙リストとの対照をを行う。併せて①②に提示された文法リストについても教科書と対照する。これらの作業を通じて、①②両資料と日本の韓国語教科書の語彙および文法項目の現状と課題について考察する。&br;
*&size(14){제2회장-3号館 3階404教室}; [#ffbcbf24]

--------------------------------------------------------------------------------
&size(14){발표1 14:20-15:00}; &br;
&size(14){李熙卿(久留米大学)}; &br;
&size(14){日本の大学における韓国語科目のアチーブメントテストの問題作成についての一考-多肢選択問題に焦点を当てる-}; &br;
&size(14){일본 대학의 한국어 과목 성취도 테스트 문항 개발에 대한 일고-다지선다형 문제를 중심으로-}; &br;

연구 발표 4 &br;
◎발표자(소속)&br;
李秀炅(関西学院大学言語教育研究センター)、宮内彩希(秀林外語専門学校)&br;
◎발표 제목:일본 국내의 한국어능력평가 시험 현황 ーiBT실시를 위한 문제점과 제안을 중심으로ー&br;
◎발표 요지:&br;  
現在、日本国内で実施されている韓国語朝鮮語関連の検定試験としては、ハングル検定試験と韓国語能力試験(TOPIK)が主流である。まだ主流とは言えないが、韓国の財団法人韓国語能力評価院(KETS)による韓国語能力評価試験(KLAT)が2013年から実施されている。本発表は、(1)現在まで日本で行われたKLATの状況を簡略にまとめ報告する。(2)2018年12月に韓国語朝鮮語関連の試験としては日本では初めて行われたであろう、オンライン試験(iBT)について、その概要や問題点を整理・報告する。とりわけ、iBTのメリットや実施方法について概略し、12月の試験実施の際に浮き彫りになった諸問題についてまとめる。導入段階の試行錯誤を踏まえ、改善していけば、今後日本国内においてオンライン試験を安定的・継続的に運営できると予想される。iBT試験は今後も年に2,3回のペースで実施する予定であり、これが日本国内で新しい形態の韓国語朝鮮語試験として位置付けられる可能性見込まれる。また、教える立場からすれば、より多くの学習者に場所や時間に縛られない検定試験の機会を提供したい。&br;
&size(14){발표2 16:00-16:40}; &br;
&size(14){李安九(岡山大学)}; &br;
&size(14){日本の大学で使われる入門用韓国語教科書の語彙について}; &br;
&size(14){일본 대학교 입문용 한국어 교과서의 어휘 항목에 대한 고찰}; &br;

  **리셉션  18:30~20:30
***리셉션  18:30~20:30[#p14e80bf]
당일 학회 회장에서 참가 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br;
*&size(14){발표 요지}; [#o90d58bd]

&size(14){松崎真日(福岡大学),磯野英治(名古屋商科大学),検校裕朗(極東大学)}; &br;
&size(14){本発表では、日本における韓国語専攻、および韓国における日本語専攻の学生が専攻言語を生かした進路を選択するためのキャリア支援を行うための実態調査の結果と、キャリア支援のためのビデオ教材の開発について報告する。実態調査は、3年次以下の大学生を対象に、日本で8大学74名、韓国で12大学102名の計176名の大学生に対して、9項目のアンケート調査を実施した。具体的には、進路の決定にあたりどのような情報が役立っていたのか、また専攻言語を生かすことができると考えられている仕事の特徴は何かなどを調査した。また、実態調査の結果を踏まえ、日本における韓国語専攻学生、韓国における日本語専攻の学生が進路を考えるのに役立つビデオ教材『映像で学ぶキャリア-日韓の学生が専攻言語を生かすために-』を制作した。本ビデオ教材は、YouTubeで無償公開しているものであるが、本発表では教材の構成と狙いについても報告する。}; &br;

**제81회 정례회[#p14e80bf]
상세 내용은 추후 게재 예정&br; 
&size(14){金景彩(慶應義塾大学外国語教育センター)}; &br;
&size(14){本発表は、ミュージック・ビデオ(MV)を活用した韓国語授業の実践例を紹介し、韓国語教育におけるマルチリテラシー(Multiliteracy)教授モデルの適用可能性とその効果を考察するものである。1996年、New London Groupによって提唱されたマルチリテラシーは、文字情報に限られない複合的な情報(各種メディアにおける視覚・聴覚情報、デジタル情報など)をさまざまな社会・文化的コンテクストの中で理解・解釈し、それを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活用できる能力を意味する。MVは、単に学習者の興味を刺激する付随的な教材に留まるものではなく、文字情報の処理能力に集中しがちな第二外国語教育を、マルチリテラシー教育へ拡張しうる媒介になる。本発表では、MVを主たる教材として活用した授業実践を紹介することで、第二外国語としての韓国語教育の意義を新たに見出すことを目指す。}; &br;

&size(14){李鉉淑(コリア国際学園 )}; &br;
&size(14){本発表は、2022年度後期にH大学にて行われた「K-POPとドラマで学ぶ韓国語」の授業について、活動を中心に紹介する。授業は、毎回K-POPを1曲ずつ聞き、歌詞に関する①語彙の意味を把握する、②文法の確認を行う、③日常会話表現を覚える、④活動(課題)を行うという手順で行われた。文法や会話表現と関連し、ドラマを適宜使用した。活動の主な内容としては、自分の状況を反映した替え歌や教室の外の人々を登場させるミュージックビデオの作成などで学習者同士がグループまたはペアで活動に取り組むようにした。さらに、韓国の大学生とのオンライン交流や学習者が講師として務めたK-POPダンス活動を行うことにより、多様な取り組みの場が提供できた。その結果、学習者同士の対話の場が増え、積極的に課題にかかわる学習者の姿がみられた。今後、K-POPとドラマを通じた多様な学びと学習者オートノミーについて検討したい。}; &br;

&size(14){李熙卿(久留米大学)}; &br;
&size(14){대학의 한국어 과목을 교수하는 교사는 매 학기 시험 문제를 출제하여 해당 과목의 학습 목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게 된다. 아울러 교사는 평가와 관련된 시험 문제의 문항 개발에 있어서 교사 자신이 출제한 각 문항이 적절하게 출제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런데 각 대학의 한국어 학기말 등의 시험 문제는 현실적으로 공개되기 어렵다는 이유로 각 교사의 몫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시험 문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교사는 실제로 시험 문제를 작성하면서 과연 적절하게 출제하고 있는지 어떤 문제를 작성하는 것이 좋은 지 매번 고민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양 과목에서 필자가 출제한 다지선다형 테스트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한국어 과목의 테스트 문항 작성 기준이 되는 것들을 다시 한번 고찰함으로써 본 발표를 통해 향후 일본 대학의 한국어 과목의 성취도 테스트 문항 개발에 대해 재검토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br;

【[[메인페이지>한국어교육연구회]] 】&br;
&size(14){李安九(岡山大学)}; &br;
&size(14){본 발표는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입문 수업에서 쓰이는 교과서들의 어휘 항목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어휘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일본의 대학교에서 많이 쓰이는 15종의 교과서에서 제시된 어휘 항목의 목록을 살펴보는 한편, 한국어 능력시험(TOPIK) 및 한글 능력 검정 시험(KLPT)의 어휘 항목과도 비교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입문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기초 어휘 항목의 윤곽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br;


* Ⅲ.사무국 [#i9fc0c89]
〒812-8581&br;
福岡市東区箱崎 6-10-1 九州大学留学センター 朝鮮語教育研究会事務局(斉藤信浩研究室気付) &br;
E-mail: chousengokyouiku@yahoo.co.jp&br;
TEL: 092-642-2150&br;
FAX:092-642-4238&br;
* Ⅲ. 사무국 [#i9fc0c89]
〒814-0180  福岡市城南区七隈8-19-1&br;
福岡大学人文学部東アジア地域言語学科&br;
松崎真日研究室気付 朝鮮語教育学会事務局 &br;
E-mail: mail@jakle.sakura.ne.jp&br;
&br;

【[[메인페이지>한국어교육연구회]] 】&br;


トップ   新規 一覧 単語検索 最終更新   ヘルプ   最終更新の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