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ze
#author("2023-05-20T06:10:07+00:00","","")
&_now;  【2013년5월31일 이후 조회수】 &counter;  ( 오늘:&counter(today); )&br;
【[[일본어판>http://jakle.sakura.ne.jp/index.php]]】 
#norelated
* Ⅰ. 머리말 [#q1f33b28]
조선어교육연구회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br;
본회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3월 20일에 '한국어교육연구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에 그 명칭을 '한국어교육학회(Japan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略称:JaSKLE)'로 변경하였습니다.&br;(자세한 내용은 '활동기록'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br;
2015년10월30일부로, 일본학술회의 협력학술단체로 등록되었습니다.&br;
회원명부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br;
한국어교육학회의 홈페이지를 방문해 주셔서 감사합니다.&br;
본회는 한국어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를 목적으로 1999년 3월 20일에 '한국어교육연구회'라는 명칭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7월 1일에 그 명칭을 '한국어교육학회(Japan Socie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약칭:JaSKLE)'로 변경하였습니다.&br;(자세한 내용은 '활동 기록'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br;
2015년 10월 30일 부로 일본학술회의 협력학술단체로 등록되었습니다. 회원 명부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br;

** 공지 사항 [#b195a10c]
-제92회 정례회는 대면과 온라인을 합쳐서 80여명이 참가해 주셔서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3년 3월 8일)
//-제93회 정례회의 발표자가 결정되었습니다.(2023년 4월 19일)
//-제93회 정례회에 대한 안내를 게재하였습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참가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8월 5일)
//-제92회 정례회의 발표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개최지는 후쿠오카입니다. (2022년 11월 30일)
-제91회 정례회는 80명이 넘는 분이 참가하여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2년9월 27일)
-「[한국어교육실정조사분과회]」에서는 일본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의 실정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내용은 분과회 페이지를 참고 바랍니다. (2019년 12월 20일)
//-제91회 정례회에 대한 안내를 게재하였습니다.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아래의 참가 신청 양식을 작성하여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2022년 8월 5일)
//-제90회 정례회는 85명이 넘는 분이 참가하여 성황리에 끝났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2022년6월 13일)
//-『조선어교육―이론과 실천―』 제18호의 투고 원고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학회지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22년 6월 1일)
//-2021년 6월 20일의 총회에서 새로운 회장 선출과 학회 임원 교체가 이루어졌습니다.상세한 내용에 관해서는 [[임원 안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21년 6월 20일)

- 2020년 6월 14일에 제84회 정례회(온라인개최)가 개최되었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합니다. 처음으로 시도한 온라인 개최이기도 하여, 84회 정례회의 총괄문을 게제했습니다.(2020 년 6 월 19 일)
- 2020년도 총회 요약을 업로드했습니다. [[타임테이블>#kc7b00ae]]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2020년 6월 12일)
- 본회의 학회지 『朝鮮語教育ー理論と実践ー』제16호의 투고 논문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여기 [[신청 양식: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dUjEYQPDxN2zcbO3Rr_cA5O1vUViIlMRY11BP4KLsUfANzQQ/viewform?embedded=true]]으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투고 신청 마감은 2020년 7월 31일(금), 원고 마감은 2020년 9월 30일(수)입니다. 투고하실 때는 일본어판 会誌案内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6월 1일)
** 제93회 정례회는 2023년 6월 25일 早稲田大学(本キャンパス)에서 개최됩니다. [#pbee42a4]
- 개최 일시:2023년 6월 25일(일)10:30〜17:50
- 개최 방식:早稲田大学(本キャンパス)3号館405教室(대면)+ 온라인(zoom)
- 참가 비용:회원 무료, 비회원 500엔

- 2020년 3월 10일에 예정되어 있던 정례회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 확산으로 인한 상황을 감안하여 중지하게 되었습니다. (2020년 2월 26일)
//- 참가를 희망하시는 분은 이하의 양식을 작성해서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사전 참가 신청 필수)&br;
//&color(red){신청 접수를 마감하였습니다. 많은 참여 감사 드립니다.};

- [韓国語教育実情調査分科会]에서는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일본어판 분과회 페이지를 참조하십시오.(2019년 12월 20일)
//[[>>>회원용 정례회 참가 신청 양식 click here>https://docs.google.com/forms/d/e/1FAIpQLScVdQ3hL_-hKKv-Gt7x3XKzEKng1z3AnlIVixi3eVOcjp6EJg/viewform]]&br;

**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84회 정례회에 대해서 [#oac3b319]
//[[>>>비회원용 정례회 참가 신청 양식 click //here>https://peatix.com/event/3490181]]&br;

6 월 14 일 (일)에 한국어교육학회 최초,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84회 정례회는 6월 정례회로는 이례적으로 70 여명이 참가하여 무사히 종료했습니다. 이것도 오로지 참가자 여러분의 협조에 의한 것으로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size(14){당일 대면으로 참가하시는 분은 미리 신청을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회장에서 직접 신청 접수를 받을 예정이므로 많은 참여 부탁 드리겠습니다.}; &br;

Zoom 연결에 대한 우려로 일부 발표자는 사전에 발표 내용의 Web 게재를 부탁함과 동시에, URL 배부 등의 사정으로 사전 신청제로 하였으며, 또한 보안 측면에서 "입장" 허가제로 하게 되었습니다. 여러가지로 불편을 끼쳐 드렸음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협조해 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이런 과정에서 신청 기일을 놓쳐 참여를 포기하신 분, 이름의 불일치로 인하여  "입장"이 원활하게 되지 않으셨던 분도 일부 계셨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한편으로 미리 업로드한 발표에 대한 질문을 사전에 집약하여 질의 응답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등 온라인 만의 장점이 돋보이는 회의이기도 했습니다. 이번 경험을 바탕으로 앞으로 홍보를 더욱 확충하고, 운영 방식에도 더욱 연구를 거듭하고자 합니다.
//&size(14){▼ 제92회 정례회 간친회 출석 확인 Google Form링크}; &br;
//[[click //here>https://forms.gle/ooT4ykFEWTmkt8eEA]]&br;

다음 9 월 정례회도 온라인으로 개최하기로 결정이 났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관심과 협조 부탁드립니다.
*&size(14){연간 기획}; [#scbe3112]

&size(14){10:30- 개회}; &br;

* Ⅱ.학술 대회 안내 [#p8b5f879]
&size(14){10:35-12:00「한국어 강의에서 사용 가능한 수업 실천 제2탄}; 

** 제85회 정례회 2020년 9월 27일(일)10시~(온라인 개최)  [#qe7c6754]
&size(14){이번 기획에서도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활동하고 계시는 회원 분들이 평소 수업에서 사용하고 계시는 수업 활동이나 학습 항목 해설에 대해 발표 및 시연을 해 주실 예정입니다. 이를 공유함으로써 학회의 회원들은 각자의 수업을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전문적이고 특별한 테크닉이나 해설일 필요는 없습니다. 많은 회원 분들이 참가하셔서 적극적으로 발언하고 교류하여 유의미한 자리로 만들어 주셨으면 합니다.}; 

&size(14){회원 총회}; &br;
&size(14){13:30-14:10}; &br;

84회 정례회에 이어 제85회 정례회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연 확산으로 인한 상황을 감안하여 온라인으로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일반 정례회와 다소 다르므로 다음의 안내를 잘 읽어 보시고 많은 참여 부탁드리겠습니다.
*&size(14){제1회장-3号館 3階405教室}; [#n03f10cf]

&size(14){발표1 14:20-15:00}; &br;
&size(14){松崎真日(福岡大学),磯野英治(名古屋商科大学),検校裕朗(極東大学)}; &br;
&size(14){日韓の韓国語専攻・日本語専攻の学生のためのキャリア支援 -実態調査の実施とビデオ教材の開発-}; &br;
&size(14){일본에서의 한국어 전공과 한국에서의 일본어 전공 학생을 위한 커리어 지원 -실태조사와 비디오 교재 개발-}; &br;

*** 개최 방법 [#qf237840]
&size(14){발표2 15:10-15:50}; &br;
&size(14){金景彩(慶應義塾大学外国語教育センター)}; &br;
&size(14){マルチリテラシー育成を目指した韓国語教育──ミュージック・ビデオを活用した実践報告}; &br;
&size(14){멀티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한국어 교육──뮤직비디오를 활용한 사례보고}; &br;

- 온라인 시스템「zoom」을 이용한 온라인 개최
- 연구 발표는 동영상으로 사전 배부되며, 회의 이전에 한정 공개됩니다. 미리 시청하신 후, 회의 당일 질의 응답에 참여하십시오.
- 질의 응답 및 기타 안내 등은 zoom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진행됩니다.
&size(14){발표3 15:10-15:50}; 
&size(14){李鉉淑(コリア国際学園 )}; &br;
&size(14){K-POPとドラマで創られる学びの場}; &br;
&size(14){K-POP과 드라마로 창조되는 배움의 장}; &br;

*&size(14){제2회장-3号館 3階404教室}; [#ffbcbf24]

*** 주의 사항 [#o6a48df6]
&size(14){발표1 14:20-15:00}; &br;
&size(14){李熙卿(久留米大学)}; &br;
&size(14){日本の大学における韓国語科目のアチーブメントテストの問題作成についての一考-多肢選択問題に焦点を当てる-}; &br;
&size(14){일본 대학의 한국어 과목 성취도 테스트 문항 개발에 대한 일고-다지선다형 문제를 중심으로-}; &br;

- 사전에 참가 신청을 받아, 동영상 링크와 zoom 회의실 주소를 배부합니다.
- 신청은 여기로→→【[[신청 양식:https://forms.gle/MCr6kCouM4Mnm8117]]】
-- 오른쪽의 QR코드로도 신청 양식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ref{application_form_85th.png};
-- 신청 마감은&color(red){2020년 9월 19일 (토) 23:59까지};입니다.
- 회의 당일에는 사전에 배부한 동영상 발표 내용에 대한 질의 응답만 이루어집니다. 당일 회의에서는 동영상을 상영하지 않으니 반드시 사전에 동영상을 시청해 주십시오. 
- 회의에 앞서 회원님의 PC나 스마트 폰, 태블릿 등에 zoom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size(14){발표2 16:00-16:40}; &br;
&size(14){李安九(岡山大学)}; &br;
&size(14){日本の大学で使われる入門用韓国語教科書の語彙について}; &br;
&size(14){일본 대학교 입문용 한국어 교과서의 어휘 항목에 대한 고찰}; &br;

*&size(14){발표 요지}; [#o90d58bd]

*** 타임테이블 [#w11e27bb]
&size(14){松崎真日(福岡大学),磯野英治(名古屋商科大学),検校裕朗(極東大学)}; &br;
&size(14){本発表では、日本における韓国語専攻、および韓国における日本語専攻の学生が専攻言語を生かした進路を選択するためのキャリア支援を行うための実態調査の結果と、キャリア支援のためのビデオ教材の開発について報告する。実態調査は、3年次以下の大学生を対象に、日本で8大学74名、韓国で12大学102名の計176名の大学生に対して、9項目のアンケート調査を実施した。具体的には、進路の決定にあたりどのような情報が役立っていたのか、また専攻言語を生かすことができると考えられている仕事の特徴は何かなどを調査した。また、実態調査の結果を踏まえ、日本における韓国語専攻学生、韓国における日本語専攻の学生が進路を考えるのに役立つビデオ教材『映像で学ぶキャリア-日韓の学生が専攻言語を生かすために-』を制作した。本ビデオ教材は、YouTubeで無償公開しているものであるが、本発表では教材の構成と狙いについても報告する。}; &br;

- 9월 19일 (토) 참가 신청 마감(23:59까지)
- 9월 21일 (월) (예정)사전 수록에 의한 연구 발표 동영상 공개 (동영상 링크는 후일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 9월 27일 (일) 정례회
--  9:00 (예정) 정례회용 zoom 주소 배부
-- 10:00 개회, 회장 인사
-- 10:05~10:30 발표 1 崔チョンア(金沢大学)에 대한 질의 응답
-- 10:30~10:55 발표 2 呉泰均(北海道大学)・趙恵真(札幌国際大学)에 대한 질의 응답
-- 10:55~11:05 휴식
-- 11:05~11:30 발표 3 印省煕(早稲田大学)에 대한 질의 응답
-- 11:30~11:55 발표 4 金珉秀(東海大学)에 대한 질의 응답
-- 점심 시간
-- 13:30~15:00 한국어 교육 현황 조사 보고(현재[[「코로나 재난의 한국어 교육 현황 조사」:http://jakle.sakura.ne.jp/index.php?%E9%9F%93%E5%9B%BD%E8%AA%9E%E6%95%99%E8%82%B2%E5%AE%9F%E6%83%85%E8%AA%BF%E6%9F%BB%E5%88%86%E7%A7%91%E4%BC%9A#mff0166c]]를 부탁드리고 있습니다)
-- 15:00~15:10 휴식
-- 15:10~16:10 기획: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 사례 보고 및 토론
-- 16:10 페회 인사
&size(14){金景彩(慶應義塾大学外国語教育センター)}; &br;
&size(14){本発表は、ミュージック・ビデオ(MV)を活用した韓国語授業の実践例を紹介し、韓国語教育におけるマルチリテラシー(Multiliteracy)教授モデルの適用可能性とその効果を考察するものである。1996年、New London Groupによって提唱されたマルチリテラシーは、文字情報に限られない複合的な情報(各種メディアにおける視覚・聴覚情報、デジタル情報など)をさまざまな社会・文化的コンテクストの中で理解・解釈し、それをコミュニケーションに活用できる能力を意味する。MVは、単に学習者の興味を刺激する付随的な教材に留まるものではなく、文字情報の処理能力に集中しがちな第二外国語教育を、マルチリテラシー教育へ拡張しうる媒介になる。本発表では、MVを主たる教材として活用した授業実践を紹介することで、第二外国語としての韓国語教育の意義を新たに見出すことを目指す。}; &br;

&size(14){李鉉淑(コリア国際学園 )}; &br;
&size(14){本発表は、2022年度後期にH大学にて行われた「K-POPとドラマで学ぶ韓国語」の授業について、活動を中心に紹介する。授業は、毎回K-POPを1曲ずつ聞き、歌詞に関する①語彙の意味を把握する、②文法の確認を行う、③日常会話表現を覚える、④活動(課題)を行うという手順で行われた。文法や会話表現と関連し、ドラマを適宜使用した。活動の主な内容としては、自分の状況を反映した替え歌や教室の外の人々を登場させるミュージックビデオの作成などで学習者同士がグループまたはペアで活動に取り組むようにした。さらに、韓国の大学生とのオンライン交流や学習者が講師として務めたK-POPダンス活動を行うことにより、多様な取り組みの場が提供できた。その結果、学習者同士の対話の場が増え、積極的に課題にかかわる学習者の姿がみられた。今後、K-POPとドラマを通じた多様な学びと学習者オートノミーについて検討したい。}; &br;

*** 연구 발표 요지 [#m31e64c1]
&size(14){李熙卿(久留米大学)}; &br;
&size(14){대학의 한국어 과목을 교수하는 교사는 매 학기 시험 문제를 출제하여 해당 과목의 학습 목표에 대한 학습자의 학습 성취도를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가하게 된다. 아울러 교사는 평가와 관련된 시험 문제의 문항 개발에 있어서 교사 자신이 출제한 각 문항이 적절하게 출제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그런데 각 대학의 한국어 학기말 등의 시험 문제는 현실적으로 공개되기 어렵다는 이유로 각 교사의 몫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시험 문항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교사는 실제로 시험 문제를 작성하면서 과연 적절하게 출제하고 있는지 어떤 문제를 작성하는 것이 좋은 지 매번 고민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양 과목에서 필자가 출제한 다지선다형 테스트 문제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한국어 과목의 테스트 문항 작성 기준이 되는 것들을 다시 한번 고찰함으로써 본 발표를 통해 향후 일본 대학의 한국어 과목의 성취도 테스트 문항 개발에 대해 재검토해 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br;

- 발표1:崔 チョンア(金沢大学)
-- 韓国語の-아/어形接続と-서形接続の競合と共存について-日本語の中立形接続・テ形接続との対照研究の観点から-&br;
(현대한국어의 -아/어형 연결과 -서형 연결 경합과 공존에 관하여-일본어의 중립형 연결・テ형 연결과의 대조연구의 관점에서 -)
-- 【要旨】日本語では連用中止における中立形(通称:連用形)接続とテ形接続が競合と共存の関係にある(益岡(2014)「日本語の中立形接続とテ形接続の競合と共存」,作例(1a)(2a)を参照)。(1)a.太郎は食材を買い,料理をする。b.다로는 식자재를 사 요리를 한다. (2) a. 太郎は食材を買って,料理をする。 b.다로는 식자재를 사서 요리를 한다.&br;
それに対し,韓国語では,-아/어形接続と-서形接続がまた競合と共存関係にあると言える部分がある((1b)(2b)参照)。しかし,すべての中立形接続とテ形接続が並行して,それぞれ-아/어形接続と-서形接続に対応する訳ではない(例(3)(4)参照)。&br;
(3){*a.行きも/b.行っても}いいですか? (4)집에 {a.가도/b.가서도} 돼요?
(a.(私が)家に行っても(あなたは)いいですか。b.(あなたは)家に行ってでもできますか。)
本研究は,韓国語の-아/어形接続と-서形接続の関係をかきらかにし,中立形接続・テ形接続との共通点および相違点について考察を行うことを目的とする。
&size(14){李安九(岡山大学)}; &br;
&size(14){본 발표는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입문 수업에서 쓰이는 교과서들의 어휘 항목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어휘 항목을 기준으로 하여 일본의 대학교에서 많이 쓰이는 15종의 교과서에서 제시된 어휘 항목의 목록을 살펴보는 한편, 한국어 능력시험(TOPIK) 및 한글 능력 검정 시험(KLPT)의 어휘 항목과도 비교하여 고찰하기로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일본 대학교의 한국어 입문 수업에서 다루어야 할 기초 어휘 항목의 윤곽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br;

- 발표2:呉泰均(北海道大学)・趙恵真(札幌国際大学)
--「실게요」の研究動向と新しい解釈への可能性について&br;
(「실게요」의 연구 동향과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에 대하여)
-- 【要旨】「실게요」は、1990年代後半からサービス業界を中心に頻繁に使用されていた。また、同時期に「실게요」の使用に関する問題提起とともに、韓国の国立国語院では「실게요」の誤用について周知し、誤用の広がりを食い止めるための計画(2013年)を明らかにしたものの、その使用はおさまるどころか、最近では言語生活にかなり浸透しており、市民権を得ているという現状である。&br;
「실게요」の使用に注目した最初の論文として조숙환(2009)があげられる。조숙환(2009)では、発話者の視点が聞き手の視点に感情移入される現象と関連づけて分析している。&br;
조숙환(2009)を筆頭に、統語論、意味論、語用論、社会言語学、対照言語学など、多岐にわたって様々な研究がなされている。&br;
本発表では「실게요」に関する研究動向についてまとめることで、その全体像の把握を目標としている。また、従来の研究では「실게요」が主にサービス業界を中心に使用されていると指摘しているが、日常のことば遣いにおける事例を紹介することで、現在の使用動向を明らかにする。さらに「실게요」における新たな解釈可能性について提案を行う。

- 발표3:印省熙(早稲田大学)
-- 日本語母語話者韓国語学習者の作文資料について&br;
(일본어모어화자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 자료에 대하여)
-- 【要旨】本研究者は日本語母語話者韓国語学習者の韓国語誤用防止のための研究をしているが、本研究では学習者の作文資料を研究の資料として用いている。&br;
学習者の作文は、関東地域の2つの大学、韓国語中級授業の学習者68名(専攻24名、非専攻44名)の作文を集めたもので、総3892文、36千語節のものである。&br;
本研究の過程で、学習者の作文の原文と誤用の修正文の作文データーのワード資料を作り、その中から採集された約5千の誤用についてエクセル資料を作った。&br;
本発表では、ワード資料とエクセル資料の概要と、詳細内容を紹介し、参加者との意見交換を通して、本資料の研究資料としての有用性について意見交換を行い、かつ本資料の不足点を補うきっかけにしたい。本資料は韓国語教育はもちろんのこと、日韓対照研究においても有用な資料になると考えられる。
- 발표4:金珉秀(東海大学)
-- 日本人韓国語初級学習者の作文にみられる語彙の特徴&br;
(일본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나는 어휘 특징)
-- 【要旨】本発表は、日本人韓国語初級学習者の作文にみられる語彙使用の特徴を考察することを目的とする。日本人韓国語初級学習者の作文を指導していると、日本人学習者が既習語彙だけでなく、自分の学習レベルを超えた語彙を使用しているケースによく遭遇する。そこで、本発表では、日本人韓国語初級学習者の自己紹介の作文で使われている語彙を、日本の韓国語教材や国立国語院の韓国語学習用語彙目録、韓国語能力試験(TOPIK)の初級・中級の語彙目録などと比較し、その使用傾向について考察する。また、日本人初級学習者の自己紹介の作文における語彙使用の様相については語彙の多様性、語彙の洗練性、語彙の密度などの観点から分析し、検討する。


*** 기획: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수업 사례 보고 및 토론 [#f994c98f]

이하의 사례 보고가 예정되어 있습니다.(五十音順).

- 印省熙(早稲田大学)
-- オンライン授業の小テストの事例
-- オンライン上にあげている小テスト問題を例に選択問題出題の例を紹介したいと思います。
当日は、画面共有で小テスト問題のいくつかを紹介し、意見交換できればと思います。
- 須賀井義教(近畿大学)
-- 解説動画を活用したオンライン授業の一事例
-- 教科書の内容に沿った解説動画を作成し,オンライン授業でどのように活用したか,紹介する.
- 新里瑠璃子(京都女子大学他)
-- オンラインビデオ会議ツールのZoomと&#80;owerPointを用いた授業の事例を紹介し、発表視聴者との意見交換を通して、これらのツールの有用性について検討し、より学習効果の高いオンライン授業の可能性を探る。
- 高木丈也(慶應義塾大学)
-- 慶應義塾大学 湘南藤沢キャンパス(SFC)における朝鮮語オンライン リアルタイム授業の実践報告を行う。具体的にはSNSとSA(student assistant)というリソースを最大限に活用したインタラクティブな授業の成果、課題に焦点を当てて報告する。
- 睦宗均(近畿大学)
-- オンライン授業の小テストの事例
-- 入門クラスを対象とした小テストの事例(聞き取り・発音)を紹介

사례 보고 후, 토론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Ⅲ. 사무국 [#i9fc0c89]
〒814-0180  福岡市城南区七隈8-19-1&br;
福岡大学人文学部東アジア地域言語学科&br;
松崎真日研究室気付 朝鮮語教育学会事務局 &br;
E-mail: mail@jakle.sakura.ne.jp&br;
&br;


トップ   新規 一覧 単語検索 最終更新   ヘルプ   最終更新のRSS